러브라이브 선샤인 마이너 갤러리 저장소

제 목
일반 쿠쿠글) 탄 쿠쿠는 상하이 방언을 씁니까? -0편-
글쓴이
민트치카
추천
20
댓글
29
원본 글 주소
https://gall.dcinside.com/sunshine/3286973
  • 2020-05-31 13:33:28
 




이번에 혜성같이 등장한 탕 커커...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출신의 혼혈 아이돌 되시겠다.


관련 정보가 공개되자마자 수려한 외모와 활기찬 성격으로 뭇 물붕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으며 어디 출신이든간에 벌써부터 땅폭을 만들고 있는 마성의 여자. 그 이름은 탄 쿠쿠...



잡설은 집어치우고 이번에는 탕 커커가 쓸 법한 (아마 공식에서 귀찮거나 관심 없어서 99.9% 확률로 일본어에 데스웅 붙인 말투 + 가끔가다가 하라쇼같이 써주는 표준 중국어 쓰겠지만) 상하이 방언에 대해서 간략하게 다루어보고자 한다.


대충 이번에는 방언에 대해서 간략하게 그리고 다음엔 중국제어 (Sinitic Languages)에 대해서, 그리고 그 다음부터 본격적으로 상하이 방언에 대해서 쓸 것이다.




상하이 방언 (上海闲话; Zaonhe Ghegho)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지역 일대에서 쓰이는 우어 (吴语; Ngu Ngiu)의 타이후 방언 (太湖片; Thaihu Phie)의 수-지아-후 방언 (蘇嘉湖小片; Su-Ka-Ghou Shiauphie)에 속하는 사투리이다. (저 위에 보이는 적갈색 지역)


상하이 방언은 사용자가 1,400만명으로 우어의 하위 방언중에서는 가장 많은 수이며, 상하이시의 발전과 그 지역의 대표성으로 인해 우어의 사실상 표준적인 형태 (De facto)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상하이시의 발전 이전까지는 쑤저우시 일대의 쑤저우 방언 (苏州闲话; Soutseu Ghegho)이 가장 대표성을 가지고 있었다. 



...근데 방언이라는 건 멀까?



일단 물붕이들의 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대한민국 거주자들에게는 언어와 방언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하기가 매우 까다로울지도 모른다... 왜냐면 나도 잘 모르거든 ㅎㅎ


사실은 어떤건 언어고 어떤건 방언인지 가르는 기준조차도 복잡하여 설명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왜냐면 어떤 말이 하나의 언어로 인정되는 기준에는 언어학적인 분석이 들어가는 것이 아닌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인 수많은 복잡한 관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실 하나하나씩 얘기하자면 밑도 끝도 없고 나도 심도있게 알지는 못한 실정이라서 대충 내가 아는데까지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가장 친숙하게 다룰 수 있는 한국어부터 예시를 들어보자. 한국어는 한국어족-한국어파-한국어군... 같은건 때려치자 왜냐면 어족/어파/어군 으로 이름 붙이고 분류하는건 한국이랑 일본 말곤 없다. 



한국어족 (Koreanic Languages)에는 현재 2개의 언어가 속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어 (Korean)와 제주어 (Jeju Language)가 되겠다. 가끔가다 육진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 다른 한국어 방언들과 차이가 많이 난다는 이유로 별개의 언어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지만 주류 의견은 아니다.



한국어의 방언은 보통 육진 방언 / 동북 방언 / 영동 방언 / 동남 방언 / 서북 방언 / 중부 방언 / 서남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내가 예전꺼 보고 대충 만든거라 지금 기준으로는 전혀 안맞음)


제주어가 제주도 방언인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인지에 대해서는 사실 앞으로 다룰 내용의 거의 대부분과 일맥상통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보자. 서울에서 출생한 서진희 양과 대구에서 이사 온 노조희 양이 학교에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다.




서진희 : 선배님 안녕하세요. 좋은 아침입니다.

노조희 : 잘 잤나. 니 이시간에 어디 가노?

서진희 : 저 음악실에 볼일이 있어가지구...

노조희 : 알긋다. 점심때 시간 있으믄 내랑 같이 밥 무울래?

서진희 : 좋아요. 그럼 이따가 봐요 선배님.

노조희 : 응~



이처럼 같은 언어 안에서 방언 간 화자들은 서로 무리없이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편이다.




그러면 같은 어족에 속하지만,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경우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또 다른 상활을 등장시켜보자.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도선자 양이 충남 태안에 있는 학교에 전학을 와서 한마루 양과 대화를 나눈다고 생각해보자.





한마루 : 선자는 제주도에서 살다가 왔구먼.

도선자 : 느 바써 나 일름도 알암나겐?

한마루 : 어...

도선자 : 무... 무사 나를 비룽이 보암디? 아멩 선자가 궤워도 하영 부치러우난 저디레 가주젠?

한마루 : 에??? (워메 먼 말인지 하나두 모르겄구먼유...)

도선자 : ... (요아인 나가 어떵 ᄀᆞᆯ으민 알아들꼬?)



이처럼 같은 어족에 있어도 다른 언어로 분류된다면 서로 이해하기가 어렵다. 제주어는 아마 고대 한국어부터 갈라져 나와서 중세 한국어 시기에 한반도의 영향을 받기 시작해 지금 우리가 쓰는 한국어와는 이질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서로 알아들을 수 있다고 해서 한 언어가 다른 언어의 방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를 예로 들어보자.



(보라색 지역 덴마크, 하늘색 지역이 노르웨이, 그리고 군청색 지역이 스웨덴이다.)


덴마크는 덴마크어를, 노르웨이는 노르웨이어를, 스웨덴은 스웨덴어를 각각 국가 표준어로 지정하였다.


각각의 언어는 방언연속체 (Dialect continuum)를 이루는 것으로 유명한데, 예문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그전에


에...노르웨이어? 어떤 노르웨이어를 말하는건지?



노르웨이어는 사실 표준어가 2개인데, 보크몰 (Bokmål)이랑 뉘노르스크 (Nynorsk)다. 



노르웨이어는 북게르만어 (North Germanic Languages)에 속해있는데, 이 북게르만어는 또 동스칸디나비아어 (East Scandinavian Languages)와 서스칸디나비아어 (West Scandinavian Languages)로 나뉜다.


동스칸디나비아어에는 덴마크어 (Dansk)와 스웨덴어 (Svenska), 그리고 노르웨이어 (Norsk)가 속해있고


서스칸디나비아어에는 아이슬란드어 (Íslenska)와 페로어 (Føroyskt mál), 그리고 노르웨이어 (Norsk)가 속해있다.



...?



르웨이는 덴마크랑 연합했다가 (덴마크-노르웨이 1524-1814) 스웨덴에게 할양되는 등 (스웨덴-노르웨이 1814-1905) 오랫동안 온전히 주권국가로 있었던 역사가 없었다. 


덕분에 노르웨이에서는 덴마크어가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그에 따라서 동스칸디나비아어에 속한 덴마크어를 기반으로한 노르웨이어인 릭스몰 (Riksmål)이 발달했고, 그와 별도로 예전부터 쓰이던 고유의 서스칸디나비아어에 속한 노르웨이어인 란스몰 (Landsmål)도 발달하게 되었다.


이 릭스몰 (Riksmål)을 바탕으로 정립된 표준어가 바로 보크몰 (Bokmål)이고, 노르웨이어가 덴마크어에 묻은 걸 반발하여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이 예전에 쓰던 고유의 노르웨이어로 돌아가자면서 란스몰 (Landsmål)을 바탕으로 새로 정립된 표준어가 뉘노르스크 (Nynorsk)다... 이 뉘노르스크에서 더 노르웨이다운 표기로 돌아가자는 회위노르스크 (Høgnorsk)도 있지만 비공식적인 표기로 취급된다.




여기서는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같은 계통에 속하는 보크몰 (Bokmål)을 기준으로 한다.



예문 - 좋은 아침이에용. 잘 지내셨나요?


덴마크어

God morgen. Hvordan har du det?


노르웨이어 보크몰

God morgen. Hvordan står det til?


스웨덴어
God morgon. Hur står det till?



예문 - 정말 고마워요.


덴마크어

Mange tak.


노르웨이어 보크몰

Mange takk.


스웨덴어

Tusen tack.



예문 - 나는 치카를 좋아해요!


덴마크어

Jeg elsker Chika!


노르웨이어 보크몰

Jeg elsker Chika!


스웨덴어

Jag älskar Chika!


보다싶이 그렇게 큰 차이가 안난다...



하지만 방언 차이정도밖에 안난다고 해도 이 언어들은 어떤 언어의 방언이 아니라 서로 대등한 언어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머가 방언이고 머가 언어인거야?



처음에도 말했듯이 기준이 없다.


정치적인 이유로 언어가 되고 방언이 되는 경우는 수도 없이 많다. 세르보-크로아트어 (Srpskohrvatski)는 정치적인 이유로 같은 언어들이 각각 세르비아어 (Српски), 크로아티아어 (Hrvatski), 보스니아어 (Bosanski), 몬테네그로어 (Crnogorski)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각각 언어간의 차이는 키릴 문자 표기인지 라틴 문자 표기인지 아랍 문자 표기인지만 두고 차이가 나지 구어로서는 차이가 그리 크지 않다.



루마니아어 (Română)와 몰도바어(Молдовеняскэ)는 루마니아와 몰도바가 각각 다른 국가로 갈라지면서 언어도 갈리게 되었지만, 두 언어간에 두드러지는 차이는 없다. 1993년에 갈라진 체코어(Čeština)와 슬로바키아어(Slovenčina)도 비슷한 경우이다. (그나마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서로 다른 지역을 표준으로 정하여서 억지로나마 차이가 있게 만든 편)



카탈루냐어 (Català)의 방언인 발렌시아 방언은 종종 발렌시아어 (Valencià)로 표기되고는 하는데, 이는 카탈루냐의 정체성과 카탈루냐를 주도하는 지역이 카탈루냐 지방인지 발렌시아 지방인지 두고 두 지역간에 해석이 달라서 벌어지는 일이다. 


카탈루냐 지방 (바르셀로나가 있는 곳)의 카탈루냐인은 카탈루냐어의 발렌시아 방언이라고 하는 반면, 발렌시아 지방 카탈루냐인은 발렌시아어는 카탈루냐어와 친족관계에 있는 언어라고 받아들인다. 발렌시아 방언인지, 발렌시아어인지에 두고서는 언어학적인 관점만 반영된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처럼 어떤 언어가 방언이 되고 아니고는 언어학적인 기준... 한마디로 알아듣느냐 못알아듣느냐 가지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노릇이다.





마찬가지로 상하이 방언이 속한 우어도 중국어를 대표하는 관화 (官话; Guānhuà)와는 상호 의사 소통성 (Mutual intelligibility)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종종 중국어의 우 방언으로 표기되고는 한다. 아마도 하나의 중국이라는 이미지와, 여러 국가들로 나누어지길 반복한 유럽의 역사와는 다르게 중국은 단일 왕조 국가를 꽤나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었기에 (비록 중간 중간에 쪼개지긴 했어도...) 중국어라는 큰 틀 안에서 각각의 방언을 이룬다고 받아들여지는 모양이다.


그러면 조금 맛보기로 중화인민공화국의 표준 중국어 (푸퉁화; 普通话; Pǔtōnghuà) 와 우어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자. (우어는 상하이 방언으로 작성했다.)



예문을 보여주기전에 먼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안할수가 없습니다... 하... 이 로마자라는게 참 괘씸하거든요?



일단 중국어라는게 한자를 기본 글자로 하다보니 발음에 대해서 유추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발음에 대해서 표시하기 위해 한자 말고 별도의 표기 방법들을 내놓았는데 그 중 하나가 로마자이다. (로마자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자는 주음부호이고, 그 외에 둥간 방언에 쓰이는 키릴 문자, 무슬림들을 위한 아랍 문자, 일본의 타이완 통치 시기에 쓰인 가나 등등이 있다.)


이 로마자도 표기 방법이 참 지랄맞게 많은데, 표준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널리 쓰이는건 한어 병음 (Hànyǔ Pīnyīn; 汉语拼音)이다. 한어 병음 외에도 우정식 병음 (Postal romanization; 郵政式拼音),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Wade–Giles), 국어 라마자 (Gwoyeu Romatzyh; 國語羅馬字)같이 예전에 쓰이던 방법들이나 국어 로마자 제2식 (國語注音符號第二式), 통용 병음 (Tongyòng Pinyin; 通用拼音)과 같이 대만에서 공식으로 쓰였던 방법 그 외에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방안이 있지만 걍 알 필요 없이 좆까고 한어 병음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자...


또 중국제어에 속한 다른 언어들도 자기들만의 로마자를 가지고 있다. 광둥어 (廣東話; Gwong2dung1waa2)가 속해있는 월어 (粵語; Jyut6jyu5)의 경우 월어 병음 줄여서 월병 (Jyu6tping3)이 가장 보편적이고, 그 외에도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 (Yale Romanization of Cantonese), 정부 지정 로마자 (Hong Kong Government Cantonese Romanisation, Romanização do governo de Macau, 廣東拼音方案)등등을 가지고 있다. 나머지는 내가 더 쓰기 귀찮고 힘들어서 생략함...




여기서 문제는 우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공식적으로 없다는 것이다... 씹...팔... 날 죽여...


학자가 제시한 통용 우어 병음이 있어서 그걸 상하이 방언에 맞춘걸 (新派上海话拼音方案) 쓸 예정이다. (성조랑 이렇게 자세한 건 음운론에 가서 다룰거임 ㅠㅠ)





간단하게 맛보는 표준 중국어와 우어.



예문 - 좋은 아침이에용. 잘 지내셨나요?


표준 중국어

早安。你好吗 (zǎo'ān. nǐ hǎo ma?)

대충 읽으면 "자오 안. 니 하오 마?" 정도 되겠다.


우어

早浪好。侬好

민트치카 어 씨발 짤리네 2020.05.31 13:33:59
lilywhite 팩트) 일본에서 자란 혼혈이라 의미없다 2020.05.31 13:36:01
5cm 중국어 꽤 배웠는데 이런건 몰랐노 ㄷㄷ 2020.05.31 13:36:06
호엥호엥 어.....음.....어...완벽하게 이해햇어 2020.05.31 13:36:17
ATM 일단 개추, 노루웨이부터 유체이탈되는데 세줄요약점 2020.05.31 13:37:03
민트치카 3줄 요약 썼는데 짤림 2020.05.31 13:37:17
삐기 3줄요약 ㅇㄷ 2020.05.31 13:37:21
MetalS 좋은글이네요 물론 읽지는 않았습니다 2020.05.31 13:37:26
キセキヒカル 3줄요약 ㅇㄷ? - dc App 2020.05.31 13:37:46
lilywhite 노루 야캐요 2020.05.31 13:37:54
좋은 글이네요, 짤려서 다 읽지는 못했습니다 - dc App 2020.05.31 13:38:20
ATM 14...14... 2020.05.31 13:38:41
민트치카 저는 정작 중국어 하나도 모릅니다 2020.05.31 13:40:51
민트치카 2020.05.31 13:41:02
민트치카 2020.05.31 13:41:15
민트치카 2020.05.31 13:41:44
민트치카 급히 추가함 2020.05.31 13:41:50
민트치카 2020.05.31 13:42:00
MetalS 예문들은 읽었는데 읽을수록 뇌정지옴 2020.05.31 13:42:16
キセキヒカル 요약 왜캐 짠하냐 - dc App 2020.05.31 13:42:40
난 재밌게 읽었음 계속 쒀줘,, - dc App 2020.05.31 13:43:05
민트치카 짤린거 해결함 왜 짤렸냐면 디시에서는 다룰 수 없는 한자가 예문에 포함되어있어서 그랬음... 그래서 걍 급히 다른 한자로 대체하니까 해결됨 아 병신사이트 진짜 2020.05.31 13:45:30
암드바라기 좋은글이다... 개추줌 2020.05.31 13:47:23
ㅇㅇ 방언없는 세계 최고 언어 러시아어 배우쉴? 정말 쉽고 잼있습니다! 223.38 2020.05.31 13:52:55
민트치카 영어도 어려운데 그 복잡한 러시아어 한번 들어가면 죽기 전까지는 못배울듯... 걍 하라쇼 한마디만 하면 되지요? 2020.05.31 13:54:32
샤워빌런 읽진 않았는데 쓸데없는 글 같아서 개추누름 2020.05.31 13:56:55
민트치카 2020.05.31 13:59:21
못생김 고맙다 도움이많이될거같으니 다음편도써줘 2020.05.31 14:01:57
ㅇㅇ 일본에서 자란 혼혈 아니고 상하이에서 자라다가 일본 온거임 자기소개에서도 스쿨아이돌 때문에 상하이에서 왔다고 하는데 원래부터 일본에서 자랐으면 상하이에서 왔다고 하질 않았겠지 221.156 2020.05.31 14:02:49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3288459 일반 가챠한번으로 이거먹었는데 좋은건가요...?? 12 후리링넘나좋은것 2020-06-01 31
3288458 일반 어머니한테 아이패드 선물한 분이 있다? 11 ㅇㅇ 2020-06-01 19
3288457 일반 결국 정가했다 5 날아갈것같은기분 2020-06-01 26
3288454 번역/창작 [번역] きこ 센세 길티키스 모드의 리코 쨩을 보고 당황하는 마리 양 5 김부활 2020-06-01 18
3288448 일반 ㅋㅋㅋ 글타 리세하는거 입문과제 울확 먼저 까봤는데 26 A+++ 2020-06-01 80
3288431 번역/창작 [러브라이브] 하루한번 럽라만화 '소망을 담아' 11 웨토리 2020-06-01 37
3288419 일반 물붕이 뽑아 버렸냐? 26 완도폭격기 2020-06-01 23
3288359 뉴짤 킹쨩 뉴인스타 3 SServ 2020-06-01 16
3288350 번역/창작 [번역] 荒센세「오필..카스미와 시즈쿠」 9 식질기계 2020-06-01 16
3288337 일반 바보특) 7 ㅇㅇ 211.36 2020-06-01 14
3288333 일반 잠시만, 이거 진짜 뭐냐? 16 ㅇㅇ 114.206 2020-06-01 19
3288308 일반 바보가 5명에 동인녀가 1명 17 ㅇㅇ 211.36 2020-06-01 19
3288272 일반 물붕이 울었다.. 2 ㅇㅇ 222.236 2020-06-01 11
3288269 일반 3그룹방송 떴다 ㅋㅋ 21 ㅇㅇ 2020-06-01 27
3288267 일반 글로벌 울확권 간다 떴냐? 1 ATM 2020-06-01 10
3288252 번역/창작 [그림] 면사포 카스미 2 Nightingale 2020-06-01 12
3288152 일반 ? 6 칸조 2020-06-01 21
3288141 일반 카스타 받았다. 세츠나 떴냐? 3 유우키세츠나 2020-06-01 16
3288122 일반 개추와 비추를 동시에 받는 짤 쌍화탕비빔밥 2020-06-01 20
3288121 일반 40만원으로 패츠나 뜨냐? 21 으널 2020-06-01 30
3288120 일반 페츠나 없는 새끼도 있냐ㅋㅋㅋ 2 ㅇㅇ 1.211 2020-06-01 21
3288092 일반 사료 울레나왔다냐 7 ㅇㅇ 39.7 2020-06-01 15
3288046 일반 글타 울확권 뉴절먹 ㅅㅅ 1 뷰잉맨 2020-06-01 12
3288030 일반 ㅋㅋㅋㅋㅋㅋㅋ 7 ㅇㅇ 2020-06-01 13
3287960 일반 글타 울확권 돌림 2 진스타수퍼스타 2020-06-01 11
3287955 뉴짤 글타갤에 마에다 뉴짤 5 챠오시 2020-06-01 11
3287942 일반 글타 하는 사람들 이글 누르지 마셈. 16 뉴비 175.193 2020-06-01 19
3287918 일반 그저 울확권까는 움짤 4 갓네오 2020-06-01 10
3287917 일반 글타 세츠냐 떳냐 !!!! Sauce 2020-06-01 19
3287913 일반 씨발 버그 설마 진짜냐 두번생각하기 2020-06-01 12
3287906 일반 이건 꿈이야 9 답을알고있다 2020-06-01 18
3287905 일반 야 이거 진짜 이번패치 오류있는거 같은데????? 1 갓네오 2020-06-01 10
3287903 일반 글타 무과금 마지막 10연 2울 세츠냐 떴냐아아아아 4 ITMC 2020-06-01 25
3287899 일반 시발 ㅋㅋㅋㅋㅋ 1 캬루탕 2020-06-01 13
3287897 일반 얘들아 이거 버그 맞지? 3 ベッチ* 2020-06-01 11
3287881 일반 지금 울확권 까지 마세요 3 리꼬 2020-06-01 16
3287877 일반 아... 안돼 제발... 3 귤과오렌지사이 2020-06-01 18
3287875 일반 단챠 한방에 페츠나 뽑는 거 존나 쉬운 거 알고 있냐?ㅋㅋㅋ 4 삐기 2020-06-01 15
3287872 일반 와 나도 떳다 5 MMST 2020-06-01 12
3287866 일반 울확권 깐다 떴냐? 2 메리마리 2020-06-01 12
념글 삭제글 갤러리 랭킹